본문 바로가기

사회14

내란수괴 우두머리 윤석열 8:0 만장일치 파면!!!! 불안불안 했던 일들이 이제 하나씩 해결 되가고 있습니다 아직 우리나라는 법이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이제 바닥을 찍고 밝은 미래로 올라갈 일만 남았습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2025. 4. 4.
윤석열 체포, 헌정 사상 첫 현직 대통령 체포 윤석열 대통령은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했으나, 이는 헌법 위배에 해당하는 내란 수괴 혐의로 체포영장이 발부되었습니다. 이후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되어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이 진행 중이었습니다.첫 번째 체포 시도2025년 1월 3일, 공수처와 경찰이 첫 번째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했으나 대통령 경호처와 5시간 30분간 대치 끝에 부상자 발생을 우려해 집행을 중지했습니다.두 번째 체포 시도 및 성공1. 2025년 1월 15일 새벽 5시 10분경, 공수처와 경찰이 두 번째 체포영장 집행을 시작했습니다.2. 오전 5시 45분경 관저 입구의 바리케이드를 제거하고, 오전 7시 30분~8시 30분경 1·2·3차 차벽을 뚫고 관저로 진입했습니다.3. 오전 10시 33분, 공수처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2025. 1. 15.
김용현 국방장관의 사임 표명: 비상계엄 책임을 지고 물러나다 2024년 12월 4일,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비상계엄과 관련된 모든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습니다. 이는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혼란과 논란에 대한 대응으로 보입니다. 사임 표명의 배경김 장관은 오후 6시 13분경 ‘비상계엄 관련 국방부장관 입장’이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사임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이 김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한 직후에 이루어졌습니다. 김용현 장관의 입장김 장관은 다음과 같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1. 책임 인정: “비상계엄과 관련하여 국민들께 혼란을 드리고 심려를 끼친 데 대해 국방부장관으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송구스럽게 생각한다”.2. 전적인 책임 수용: “비상계엄 사무와 관련하여 임무를 수행한 전 장병들은 장관의 지시에 따른 것이며,.. 2024. 12. 4.
윤 대통령, 밤중에 비상계엄 선포.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사건은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며 광범위한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계엄 선포와 그 배경윤석열 대통령은 2024년 12월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이는 국가 안보와 북한의 위협을 언급하며 이루어졌지만, 실제로는 정치적 압박과 실패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계엄 선포는 국회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몇 시간 만에 국회에서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시민과 정치권의 반응 • 시민 반발: 국회 앞에 모인 시민들은 “계엄 해제”와 “윤석열 체포”를 외치며 강력히 반발했습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며, 이번 사태를 탄핵 사유로 간주했습니다.• 정치적 비판: 야당 및 일부 여당 의원들도 윤 대통령의 행동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민주당은.. 2024. 12. 4.
반응형